-
Git 명령어 별 저장소 (repository) 정리Git 2021. 12. 1. 00:05반응형
Git 을 사용하다보면 명령어와 각 단계별 저장소에 대해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이해를 하지 못하고 사용하게 되면 간단한 conflict 가 발생하여도 헤매는 경우가 많다.
Git 의 저장소는 아래와 같이 이해 하면 쉽다.
Working directory
- 현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로컬(내피씨) 디렉토리
- 코드의 수정등이 발생
Staging Area
- Working Directory 에서 코드를 수정하게 되면 변경된 파일을 지정해야하는데 이때
$ git add 명령어를 사용하고 변경된 파일이 Staging Area 에 저장된다. 그리고
$ git commit 시에 이 영역에 저장된 파일이 반영된다.
Repository
Local Repository / Remote Repository
가장 헷갈리는 영역이 이부분 Repository 이다.
단지 Repository 라고 말하면 앞서 Working Directory 에서 변경된 파일 이력(Commit 기록) 들이 저장되는 프로젝트 폴더 최상단의 .git 폴더 아래를 의미한다.
$ ls -al
위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 폴더를 조회 가능하다.
Local Repository vs Remote Repository
간단하게 Local Repository 는 개인 PC 에 설정된 Repository 이다.
Staging Area 에서 $git commit 을 통해 수행된 변경 파일이 저장된다.
Remote Repository 는
Remote 라는 말에서 보듯이 원격 저장소 즉, Git hub 과 같은 서버에 있는 저장소를 말한다.
$ git push 를 통해 Local Repository 의 내용이 반영된다.
아래 그림으로 이해하면 가장 개념이 잘잡힌다.
반응형'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commit 에서 변경 사항 확인하는 방법 show / blame (0) 2021.12.01 Git commit History 보는 다양한 방법 (0) 2021.12.01 Git add 반영된 파일을 지우는 법 (0) 2021.12.01 Git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의미 (0) 2021.12.01 Github 잔디 안심어지는 현상 및 해결 방법 (0) 2021.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