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git remote 제거 또는 변경 하는법 error: origin 리모트가 이미 있습니다.Git 2023. 1. 31. 21:21
git 을 사용하다보면 origin 에 대한 remote 저장소를 변경하고 싶을 때가 있다. 이때 기존에 origin 으로 설정된 주소와 충돌하여 git remote add 가 되지않는 경우가 있다. 이럴때에는 간단히 origin 을 제거하고 다시 원하는 주소로 연결하면 된다. # 기존 리포지토리 remote 제거 $ git remote remove origin # 새로운 리포지토리 추가 $ git remote add origin httls://github.com/해당주소
-
Mac 키보드 마우스 연결 끊김 해결법ETC 2023. 1. 28. 20:20
맥 장비를 사용하다보면 가끔 키보드나 마우스가 계속 연결이 끊겨서 사용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재연결을 하여도 연결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Bluetooth 기기의 신호 충돌로 발생하는 문제라고 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재설정으로 간단히 해결 가능하다. 1. 시스템 환경설정을 연다. 2. Bluetooth 를 클릭한다. 3. 블루투스에 연결 되지않는 마우스나 키보드를 오른쪽 X 표시를 눌러 제거한다. 4. 제거 한 뒤 연결잭으로 다시 연결하면 재등록이 되고 이제 연결이 유지된다. 해결!
-
Chmod 777, 755 의미 (권한 설정)ETC 2023. 1. 19. 23:25
파일을 실행시키기 위해 명령어를 실행 시킬 때 권한을 주기위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 할 때가 있다. $ chmod 777 h2.sh $ chmod 755 h2.sh 의미는 아래와 같다. 777의 의미는 user, group, other 모두에게 모든 권한을 준다는 뜻이다. 755의 의미는 user 에게는 모든 권한을 부여하고 group, other 에게는 읽기와 실행 기능만 준다는 뜻이다. 해당 명령어를 이해하려면 아래와 같은 지식이 필요하다. chmod 는 change mode 의 약어로 시스템의 모드(권한) 를 바꾸는 명령어 이다. 파일의 권한은 읽기(r) 4 / 쓰기(w) 2 / 실행(x) 1 로 분류된다. 각 숫자의 합에 따라 권한이 결정된다. ex) 7 => 모든 권한 5 => 읽기 / 실..
-
Mac zsh 에 brew 적용안되는 에러 해결법: zsh: command not found: brewError Handling 2023. 1. 12. 00:00
homebrew 를 설치한 뒤에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고 싶지만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나는 경우가 있다. $ brew --version zsh: command not found: brew 위 에러는 아직 path 에 등록이 안되어 찾을 수 없어 발생한다. 아래 명령어로 경로를 zsh 에 적용 후 변경 사항을 반영 하면 된다. 적용 $ echo 'export PATH=/opt/homebrew/bin:$PATH' >> ~/.zshrc path 적용 확인 # 아래 명령어로 zshrc 를 열어보면 path 가 잡혀있는것을 알 수 있다. $ vi ~/.zshrc export PATH=/opt/homebrew/bin:$PATH 코드 변경 반영 터미널을 껏다 키거나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변경사항을 적용한다. $ so..
-
Mac Homebrew 설치하는법ETC 2023. 1. 11. 23:51
Homebrew 는 macOS 용 패키지 관리자이다. 터미널(Terminal)에서 명령어 작성을 통해 원하는 필요한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설치방법은 아래와 같다.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수행하면 설치된다. $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참고로 아래 사이트에서 말해주는게 가장 정확하다. https://brew.sh/index_ko Homebrew 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or Linux). brew.sh
-
MAC 에서 한글 단축키 설정 또는 변경하는법Tool 2023. 1. 6. 19:41
처음 MAC 사용중이나 공동 사용중이라면 아래 키 중 하나가 default 세팅일 가능성이 크다. (앞에 키를 누르면서 뒤에 키를 입력해야한다.) command + space / ctrl + space / Caps Lock키 한/영 세팅하는 법은 아래와 같다. 1. 화면 좌측 상단 애플 모양을 누른 뒤 > 시스템 환경설정을 클릭하거나 System preferences.app(시스템 환경 설정)을 검색한다. 2. 키보드 > 입력소스 에서 ABC 입력 소스 전환 을 클릭 한 뒤 앞에 적힌 키로 변환 (ex. 한/A) 3. 키보드 > 단축키 > 입력소스 > 이전 입력소스 선택을 클릭한 뒤 원하는 단축키를 설정
-
meta 태그 및 og 의미Frontend 2023. 1. 6. 19:19
태그는 문서에 대한 정보인 메타데이터(metadata)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 간략히, 문서에 어떤 정보가 담겨있는지를 기술한다. 제공된 정보는 브라우저나 검색 엔진, 다른 웹 서비스에서 사용 된다. 1. 검색엔진을 위한 keyword를 다음과 같이 입력한 뒤 검색 엔진에서 조회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2. 웹 페이지에 대한 설명을 기입할 수 도 있다. 이밖에도 누가 저장인지를 나타내는 author 등 다양한 속성값이 있다. 그런데 메타 태그 내부에 og:title 과 같이 적힌 경우가 있다. og 는 오픈그래프(Open Graph) 의 약자로 SNS에 게시될 때 문서의 데이터를 가지고 갈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아래와 같이 해당 주소 복사시 전 미리 크롤러가 해당 웹사이트를 방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