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ssh 로 서버 접속하는법IT 상식 2018. 12. 2. 17:27
ssh로 서버 접속하는법내컴퓨터에서 다른 서버로 접속하고 싶을때가 있다.이럴때에는 아래와 같이 ssh 명령어를 뒤에 호스트 네임과 ip 주소를 @ 를 기준으로 적어주면 접속된다.> ssh 호스트네임@IP주소> ssh tempname@111.222.33.44 hostname(호스트네임) 찾는법해당 컴퓨터의 HOSTNAME(호스트네임)은 해당 서버에 들어간 뒤(직접 해당 서버에서 접속)hostname 이라는 명령어를 치면 나온다. > hostname 만약 비밀번호가 있다면?sshpass -p 옵션을 이용하면된다.sshpass -p비밀번호 ssh 호스트네임@IP주소> ssh -phahaha ssh tempname@111.222.33.44 서버 접속 쉘파일 만들어 간단히 실행하는 법자주사용하는 서버의 경우 매번..
-
git commit 메시지 변경하는법Git2/정리 2018. 11. 26. 23:13
깃을 이용하다가 보면 실수로 메시지를 잘못 적거나 추가 수정이 있어 커밋메시지를 수정해야할 때가 있다.이럴 때에는 간단하게 git commit --amend 를 이용하여 해결 할 수 있다.> git commit --amend위 명령어를 누르게 되면 변경할 수 있는 창이 뜨는데 바꾼다는 표시로 i 를 클릭한 뒤 바꾸고 난 뒤에 esc 키를 누르고 바꾼걸 반영하겠다는 wq! 를 적어준다.> i // 수정 시작> esc // 완료> wq! // 수정 반영
-
git add 한 파일 취소하는법Git2/정리 2018. 11. 26. 22:37
깃에 실수로 git add . 과 같은식으로 파일을 전부 반영하였다가 취소하고 싶을 때가 있다.이럴 때는 git reset HEAD "파일이름" 을 이용하여 git 에 올린 파일을 취소할 수 있다.ex1) git add 한 파일 하나 취소하는법 -> git reset HEAD 뒤에 파일이름 적어줌> git reset HEAD temp.txt ex2) git add 한 모든 파일 취소하는법 -> git reset HEAD 뒤에 입력하지 않음 > git reset HEAD
-
파일, 폴더 삭제 명령어IT 상식 2018. 11. 25. 23:35
파일 또는 폴더를 삭제하고 싶을 때 rm 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한다.ex1) 파일 삭제 rm "원하는 파일명"file.txt 라는 파일을 지울 때> rm file.txt ex2) 폴더 삭제rm -r "원하는 폴더명"temp 라는 폴더를지우고 싶을 때 > rm -r temp ex3) 파일/ 폴더가 있던 없던 오류 나타내지 말고 삭제하기rm -rf "원하는 파일/폴더 명"> rm -rf temp 보통 ex3 번째인 rm -rf 명령어를 이용해 파일 또는 폴더를 삭제한다.
-
git merge 하는 법Git2/정리 2018. 11. 25. 23:05
깃의 서로 다른 브랜치를 병합하고 싶을 때 가 있다.이럴 때에는 merge를 하고 싶은 브랜치로 간뒤 git merge "해당 브랜치" 를 적어준다.예를 들어 master 브랜치에 dev 브랜치에서 커밋한 내용을 merge 하고 싶다면 master 브랜치로 git checkout 명령어를 통해 이동 한 뒤 아래와 같이 git merge 명령어를 실행하면 된다.--> dev 브랜치의 변경 내역이 master 브랜치로 병합> git checkout master> git merge dev 이때 중요한점은 dev 브랜치가 commit을 한 상태여야한다는 점!
-
git error 해결법 : git 브랜치 삭제 안될 때 Cannot delete branchError Handling 2018. 11. 25. 18:56
깃 브랜치를 삭제하려고 할때 git branch -d dev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뜨면서 삭제가 안될 때가 있다. error: Cannot delete branch 'dev' checked out at 'C:/Users/dev' 이는 현재 브랜치가 삭제하고자 하는 브랜치 이기 때문이며 아래와 같이 브랜치를 전환한 후에 삭제하면 된다. git checkout master git branch -d dev
-
git branch 생성, 확인, 이동, 삭제 하는 법Git2/정리 2018. 11. 25. 18:52
깃을 이용하다 보면 다른 사람이나 기존 버전의 브랜치에 영향을 주지않기 위해 브랜치를 새로 만들어 이용한다. git 브랜치 만드는 법git branch "브랜치 이름" 을 통해 브랜치를 만든다> git branch dev 위와 같이 입력하면 dev 라는 브랜치가 만들어 진다. git 브랜치 확인하는 법git branch 라는명령어를 통해 브랜치 목록을 확인한다.> git branch git 브랜치 이동하는 법git checkout "원하는 브랜치명" 명령어를 통해 이동한다. > git checkout dev git 브랜치 삭제하는 법삭제하고자 하는 브랜치가 아닌곳으로 이동한 뒤 git branch -d "삭제하고자 하는 브랜치" 명령어를 통해 삭제한다.> git branch -d dev
-
git push -u 옵션 사용 이유Git2/정리 2018. 11. 25. 16:30
파일을 깃허브에 반영하기 위해 git push 를 이용할 때 git push -u "원격저장소" "현재 브랜치명"와 같이 -u 옵션을 쓸때가 있다.ex)> git push -u origin master -u 옵션을 적어주면 앞으로 master 라는 현재 브랜치를 자동으로 origin 이라는 원격저장소의 master 브랜치로 연결해간단히 git push 만 입력하여 반영하거나git pull 을 입력할 때 origin이라는 원격저장소의 master 브랜치를 로컬 저장소의 master 브랜치로 merge 할수 있게 해주겠다는 의미이다.따라서 이제 간단히 아래와 같은 식으로 원격저장소와 로컬 저장소를 자동 연결하여 사용할수 있다.> git push> git pull